나무재배/호도나무 썸네일형 리스트형 호도나무 재배법(하) 이봉수/임목육종연구소 유실수과 ◇병충해 방제 호도나무에 흔히 발생되는 병충해는 주로 가지마름병, 잿빛고약병 문우병, 탄저병 등의 병해와 어스렝이 나방, 하늘소, 깍지벌레, 명나방, 박쥐 나방, 호도나방 등의 해충이 있다. 가. 병해 방제 (1)가지 마름병 (가)병징 통풍이 적고 태양 광선이 조인이적은 수관 안쪽에 2∼3년생 가지의 연약한 도장지에 발생한다. 주로 해충피해 부위에 병원균의 종류에 다라 굴기 마름병, 흑립성 줄기마름병, 갈색줄기 마름병 등으로 나눌수 있다. 이들은 병징이 대부분 비슷하게 나타나 가지의 상처를 중심으로 갈반병이 생기므로 이병 부위가 확대되어 가지가 말라죽는다. (나)방제법 수관내부의 연약한 가지를 정지하고 통풍이 잘 되고 광선이 잘 쪼일수 있도록 가지를 정리함과 동시에 봄철 또.. 더보기 호도나무 재배법(중) 이봉수/임목육종연구소 유실수과 시비방법도 변측 주간형 1주당 시비량(단위:g) 9. 사후 관리 호도나무는 과실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관계로 사후관리를 방임 상태로 두면 수제가 약해지고 해거리로 수확량이 적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수세가 약해 짐으로 나무의 수명도 짧아진다. 식재후의 관리는 풀베기시비, 구위 정리 등을 들수 있다. 가. 풀베기(하예) 호도나무 묘목의 피압을 막기 위하여 5∼6년생 까지는 매년 6월중순과 8월중순 2회에 걸처 풀베기를 실시하며 깍아진 풀은 퇴비를 만들어 시비한다. 나. 시비 (1)시비량 시비량은 토양의 비옥도 수령 등에 따라 다르겠으나 호도나무는 과실의 결실로 많은 양묘를 소모하므로 매우 높은 비옥도를 요구한다. 따라서 식재지에서 생장상태를 감안하여 결과지가 40∼60㎝정.. 더보기 호두나무 재배법(상) 이봉수/임목육종연구소 유실수과 1. 머리말 호도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교목성 유실수로써 과실은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하여 어느 유실수보다 영양가가 높아 생식용은 물론 유지자원으로써 충분한 가치가있다. 그리하여 유자원의 급격한 국내수요를 충족시키고저 해바라기를 비롯한 유지작물의 재배를 적극 권장한바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절대농지의 개발은 필연적이며 유지자원인 호도나무의 재배는 보다 큰 의의가 있어 앞으로의 재배전망이 아주 밝아 농어민 소득증대 사업의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유실수라 할 수 있다. 2. 재배내력 호도나무는 유럽, 아시아 및 아메리카대륙에 걸쳐 널리 재배되는 유실수로써 연평균 12℃등온선을 중심으로 하여 난대중부에서 온대중부에 걸쳐 생육재배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호도나무는 4세.. 더보기 이전 1 다음